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9 Clean Code 짜기7 디미터 법칙 -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 - 객체는 자료를 숨기고 함수를 공개한다 -> 객체는 조회 함수로 내부 구조를 공개하면 안 된다. Options opts = ctxt.getOptions(); File scratchDir = opts.getScratchDir(); final String outputDir = scratchDir.getAbsolutePath(); 위 코드 형태로 구현된 함수는 ctxt 객체가 Options을 포함하고, Options가 ScratchDir을 포함하고, ScratchDir이 AbsolutePath를 포함한다. 위 예제가 디미터 법칙을 위반하는지 여부는 ctxt, Options, ScratchDir이 객체인지 아니면 자료구조 인지에 달렸다. 객체.. 2019. 10. 25. Clean Code 짜기6 형식 맞추기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오랜 시간이 지나 코드의 흔적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코드가 바뀌어도 처음 구현 스타일과 가독성 수준은 유지보수 용이성과 확장성에 계속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행 길이 유지 개념은 빈 행으로 분리 코드에서 각 행은 수식이나 절을 나타내고, 일련의 행 묶음은 완결된 생각 하나를 표현한다. 생각 사이는 빈 행을 넣어 분리를 해주자. public class BoIdWidget extends ParentWidge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REGEXP = "'''.+?'''" ; private static final Pattern pattern = Pattern.compile("'''(.+?)'''", Pattern.MULTILINE + Pa.. 2019. 10. 24. Clean Code 짜기5 -주석 // /**/ 복잡하고 주석이 많이 달린 코드보다 표현력이 풍부하고 깔끔하고 주석이 거의 없는 코드가 더 좋다 코드만으로 의도를 표현하기 어려운경우 주석을 달아야 한다. // 직원에게 복지 혜택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 검사한다. if ((employee.flags & HOURLY_FLAG) && (employee.age >65)) ---- if (employee. isEligibleForFullBenefits()) 위 두 코드를 보면 코드로 의도를 표현하는데 의도가 많은경우 주석으로 달려는 설명을 함수로 만들어 표현한 것이다. 기본적인 정보를 주석으로 제공하면 편리하다 // 테스트 증인 Responder 인스턴스를 반한한다. protected abstract Responder responderIns.. 2019. 10. 24. DataTables 사용해서 각종 기능을 가진 테이블 만들기 DataTables 스크립트 cdn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paging, ordering, info 등 여러가지 기능을 가져와 테이블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단에 css를 적용시키고, 테이블을 추가해준다. 마지막으로 스크립트를 사용해주면 간단하게 끝난다. 결과물로는 이렇게 페이징등 각종 기능들을 사용하는 테이블이 만들어진다. 페이징과 오더링, 인포 기능을 없애려고 한다면 해당 구문을 추가해주면 결과물은 이렇게 기능들을 false로 없앨수 있다. 참고 https://datatables.net/ 2019. 10. 23.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 반응형